아무것도 아닌데 뭐라도 된 것처럼

[한시감상] 자식의 무덤 앞에서 본문

세상/이생의 끝

[한시감상] 자식의 무덤 앞에서

조용한 3류 2017. 4. 27. 10:03

 

아래 글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보내주는 오늘 자 메일입니다.

 

관심 있으신 분은 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(http://www.itkc.or.kr/)에서 신청하시면 됩니다.

(좌측 하단, 메일링 서비스 신청하기)

 


 

한시감상

[백예순두 번째 이야기]  2017년 4월 27일 (목)

 

자식의 무덤 앞에서 

  

12월 26일 새벽에 아들 묘에서 곡하다

[十二月二十六日曉 哭兒墓]

 

그믐달 드문 별빛 새벽 구름을 비추고

빈산에 쌓인 눈은 외로운 무덤 덮었네

평생의 지극한 슬픔 오늘 밤 통곡하니

지하의 영혼은 듣고 있는가

 

缺月疏星映曙雲 결월소성영서운

空山積雪掩孤墳 공산적설엄고분

百年至慟今宵哭 백년지통금소곡

能遣精靈地底聞 능견정령지저문

 

- 김수항(金壽恒, 1629~1689), 『문곡집(文谷集)』 권6

 

 

해설    이는 조선 숙종 때 영의정을 지냈던 문곡 김수항이 요절한 아들 김창립(金昌立, 1666~1683)을 곡한 시이다. 김수항의 여섯 아들은 김창집(金昌集), 김창협(金昌協), 김창흡(金昌翕) 등을 비롯해 모두 학문과 문장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당시 ‘육창(六昌)’이라 불릴 정도로 세간의 칭송과 주목을 받은 형제들이다. 그 중 김창립은 막내아들이어서 가족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았고 또 어려서부터 출중하여 촉망받던 인재인데 18세에 병으로 세상을 떠나 주위의 안타까움을 자아내었다.

 

   아버지 김수항은 당시 영의정으로 양주(楊州) 석실(石室)의 장지까지 따라가지 못하여 더욱 깊은 슬픔을 품게 되었던 듯하다. 같은 문집 권6에는 다음 해 8월 김창립의 생일에 지은 시가 실려 있으며, 권22에는 「죽은 아이의 행장」이, 권24에는 대상 때까지 지은 제문 5편이 실려 있다. 그 형인 김창협이 지은 묘지명을 보면, 1689년 김수항이 죽음을 맞이하던 날 “네 아우의 묘지(墓誌)를 내가 오래전부터 짓고 싶었으나 슬픔이 심하여 문장을 만들 수가 없었다. 이제 나는 끝이니, 네가 꼭 묘지를 지어라.”라고 유명을 내렸다고 한다. 아들이 죽고 6년이 흐른 뒤 자신의 죽음을 눈앞에 두고도 끝내 그의 가슴을 아프게 하였던 것은 어려서 죽은 막내아들이었을 것이다.

 

   12월 26일은 바로 아들의 기일이다. 당시 장지에 못 갔으니 위의 시는 다음 해 기일에 지은 것인 듯하다. 그믐달에 별빛도 드문드문한 새벽, 산속에서 눈 덮인 자식의 찬 무덤을 찾아가 가슴속에 묻어두었던 통곡을 한다. 이 소리가 지하의 영령에게도 들릴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... 짧은 칠언 절구에서 이 모든 광경과 작자의 심경이 간결하면서도 눈앞에 펼쳐진 듯 충분히 전해지고 있다.

 

   부모든 자식이든 배우자든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의 시간은 때로 그 순간에 멈춰있다. 시간이 흐르면 일상 속에서 고통스런 감정이 무뎌지기도 하겠지만 어느새 다시 그 순간으로 되돌아가 있는 자신을 발견하기도 한다. 병으로 죽은 자식의 죽음을 7년 동안 가슴 아파하던 김수항의 시를 보니 문득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다.

 

   세월호가 3년 만에 그 모습을 드러내었다. 육지에 올라와 바닥을 드러내며 옆으로 누워있는 사진을 뉴스에서 보았을 때 이것은 거대한 괴물과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. 수백의 생명과 그 가족들의 눈물과 고통을 삼켜온 괴물이다.

 

   예전에 봉준호 감독의 “괴물”이란 영화가 있었다. 괴물에게 잡혀간 딸을 찾기 위해 가족들이 직접 활과 총을 들고 나서는데, 정부와 경찰은 오히려 이들을 범죄자처럼 추격하고 방해한다. 그 괴물은 어디로 갔는지, 붙잡힌 자식의 생사도 알 수 없는데 구조하기는커녕 온갖 거짓말과 은폐, 조작이 판을 치고 아무도 가족들의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. 가장 황당한 상황에서 자식을 잃었음에도 세상 그 누구도 믿을 수 없고 의지할 수 없는 절박한 처지이다. 그런데 이제 그 괴물이 잡힌 것이다.

 

   누군가는 3년이나 지났으니 이제 그만하자고 하기도 한다. 죽은 사람이 살아오는 것도 아닌데 그만 묻어두자고 한다. 하지만 바다에서 올라온 괴물의 사진을 본 순간 이제 시작이라는 조용한 외침이 들리는 듯했다. 저 괴물의 배를 열어 그날의 진실을 끌어올려야 할 것이다. 아니면 우리는 계속 또 다른 괴물을 맞이하게 되고 우리의 가족은 또 다른 장소에서 외롭고 힘든 싸움을 해야 할 것이다.

 

글쓴이 김성애(한국고전번역원 수석연구위원)

 


 

2년 전 쯤에 이런 한시도 있었다.  꿈에서나마

같은 분이 올리셨다...

 

세월호 같은 사연은 없었지만

나도 아이를 먼저 보냈을 때

왜 그리 도인들이 많던지...

내가 보기엔 불감증 환자들일 뿐인데...